사진= 문호진, 김주령, 장건재 감독
사진= 문호진, 김주령, 장건재 감독

오롯한 작가주의 시선으로 언론과 평단, 시네필들의 절대 지지를 받고 있는 장건재 감독의 5번째 장편영화 다정다감(多情多感) 시네에세이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Juhee from 5 to 7)가 지난 25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언론/배급 시사회 및 기자간담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장건재 감독은 2009년 <회오리 바람>으로 밴쿠버국제영화제 용호상을 수상하며 크게 주목받으며 데뷔한 이래, <잠 못 드는 밤> <한여름의 판타지아> <달이 지는 밤>까지 오롯한 자신만의 시선과 깊이 있는 스토리텔링, 섬세한 연출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작가주의 감독으로 정평이 난 감독이다.

타이틀 롤을 맡은 김주령 배우와는 2013년 개봉 <잠 못 드는 밤>과 OTT시리즈 [괴이]의 특별출연에 이어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가 3번째 만남이다.

사진= 장건재 감독
사진= 장건재 감독

기자간담회의 첫 질문에서 영화를 만든 계기에 대하여 장건재 감독은 “김주령 배우와 10년 전에 <잠 못 드는 밤>을 같이 만들었다. 그 뒤로 언제 한 편 더 같이 작업을 하자 이런 이야기를 종종 나눴다.

이것을 계기로 김주령 배우에 의한, 김주령 배우를 위한 김주령 배우의 영화를 한 편 만들어 보자는 게 영화의 시작이었다”라며 김주령 배우와의 인연을 먼저 밝혔다. 이어서 “공연계에도 코로나19 락다운 기간 동안 무대에 설 수 없었던 배우들이 있었다.

문호진 배우가 젊은 배우들과 단편 영화 제작 실습을 하나 하기로 했는데, 그 워크샵 강사 자리를 나에게 제안했다. 그래서 ‘호진’의 극단 이야기를 만들었다.

사진= 김주령
사진= 김주령

영화는 ‘호진’과 ‘주희’ 두 파트로 나누어져 있는데, 서로 각기 다르게 시작을 했다가 두 이야기를 하나로 합쳐보자는 생각이 들어 다른 공간에 있는 두 부부의 이야기로 완성한 영화다”라며 개별로 시작한 두 영화가 하나로 합쳐진 흥미로운 비하인드를 공개했다.

이어서 시나리오에 대한 첫인상을 묻는 질문에 문호진 배우는 “원래 처음 받았던 시나리오는 <5시부터 7시까지의 호진>이라는 극장에서 연극을 만드는 내용이었다. 장건재 감독님과 만나 시작하게 된 계기 자체가 좀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것 같다.

하지만 작업하는 동안 너무 행복했고, 앞으로 계속 작업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멋진 감독이다”라며 영화와 장건재 감독에 대한 애정을 밝혔다.

사진= 문호진
사진= 문호진

김주령 배우는 “시나리오 자체는 솔직히 조금 심심했다. 그래서 어떤 영화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의심했지만, <잠 못 드는 밤>을 같이 만들면서 느낀 점은 감독님은 근사한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호진’의 이야기가 들어오면서 더 이야기가 풍성해졌다.

특히 영화에서 ‘호진’과 ‘주희’의 이야기가 서로 교차되고 미묘하게 경계를 넘나들면서 진행되는 이야기가 재미있다. 비록 한 번도 현장에서 만난 적은 없지만, 영화를 보면서 ‘호진’과 ‘주희’가 어떤 결혼 생활을 했겠다라는 상상이 갔다.

그게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의 매력 중 하나가 아닌가 싶다”라며 감독에 대한 믿음과 영화의 매력을 소개했다. 아녜스 바르다의 1962년 작품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를 재해석하고 오마주 하는 과정에 대한 질문에 장건재 감독은 “나는 (아녜스 바르다 감독의)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와 <행복>을 가장 좋아한다.

사진= 문호진
사진= 문호진

언젠가 이 두 영화의 영향권 아래서 작업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늘 했다. 또 한편으로는 배우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다. ‘클레오’라는 인물도 20대 가장 아름다운 시기의 배우 이야기고, 반면에 ‘주희’는 그 시기가 지나간 배우다.

가장 아름다웠던 시기를 지나 보낸 어떤 배우, 그리고 지금은 더 이상 배우를 하지 않고 있는 인물의 이야기를 한정된 시간 안에 다루면서 그 인물이 살아온 삶 전체를 그려볼 수 있는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여러 경험을 한 인물을 배치해 보고 싶기도 했다” 며 20대 파리지엔느 ‘클레오’를 40대 연극과 교수 ‘주희’로 오마주 하게 된 과정에 대해 밝혔다.

사진= 김주령
사진= 김주령

이어서 “수업을 다 끝내고, 혹은 수업이 없는 날 해질녘까지 2시간 동안 자기 방을 정리하는 한 인물의 이야기와, 보통 연극이 7시에 시작하니까, 첫 번째 초연을 앞두고 있는 한 연출가의 불안한 시간을 다뤄보고 싶었다.

두 사람이 부부면 어떨까, 이런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었던 상상이 ‘클레오’부터 ‘주희’까지 확장되고 변형이 되었다”며 <5시부터 7시까지의 호진>과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가 자연스럽게 합쳐지게 된 비하인드를 다시 한번 공개했다.

김주령 배우의 자연스러운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김주령 배우가 기존 작품에서 보였던 강렬한 캐릭터들과는 반대되는 모습으로 김주령 배우의 필모그래피에서 눈에 띄는 작품이다.

사진= 김주령, 문호진
사진= 김주령, 문호진

주인공 ‘주희’와 김주령 배우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대한 질문에 김주령 배우는 “장건재 감독과 <잠 못 드는 밤>을 작업할 때는 극 중 30대였고, 주인공이 출산에 대해 고민하는 지점이 사실 실생활의 고민과 연결돼 있었다.

작업을 같이 하고 영화를 찍으면서 고민한 지점이 저의 실제 이야기이기도 했다. 그런 부분이 저도 좋았고 감독님도 좋으셨던 것 같다. 그래서 제안하셨던 게 이제 40대 ‘주희’를 해보자는 거였다.

어떤 삶의 전환점을 맞이한 40대 연극과 교수와 제가 맞닿아 있는 부분은 제가 교수는 아니지만 배우이고, 40대 중후반을 살아가고 있고 저 역시 그런 부분이 비슷하다 보니까 영화를 찍으면서 (<잠 못 드는 밤> 때처럼) 함께 고민해 보는 게 어떻겠냐는 의미로 제안하신 것 같다” 며 2010년 <잠 못 드는 밤>의 30대 ‘주희’가 2023년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의 40대 ‘주희’가 김주령 배우의 실제 고민과 맞닿아 있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했다.

사진= 김주령, 문호진
사진= 김주령, 문호진

이어서 장건재 감독은 “김주령 배우에게 제가 받은 어떤 인상의 면면들이 있다. 사실 되게 에너지가 강한 사람이고 누구나 그렇듯이 어떨 때는 약한, 그런 강약이 있는 배우다.

이른바 ‘시장’에서는 김주령 배우가 갖고 있는 굉장히 에너제틱한 모습들을 잘 쓰지만, 저는 좀 다른 면을 담고 싶었다. 김주령 배우가 갖고 있는 잔잔한 고요함이 있다. 그런 것들을 담아내려 했다”라며 가장 자연스러운 인간 김주령의 모습을 영화 안에 고스란히 녹여낸 계기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문호진 배우는 “소박하지만 아주 적은 예산으로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든 따뜻한 이야기다. 관객분들도 이 영화를 통해 살아가는 의미를 한 번 생각해 보시고, 또 살아갈 힘을 재충전할 수 있는 희망을 가지시길 바란다”라며 영화가 가지고 있는 삶에 대한 메시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사진= 장건재 감독, 김주령, 문호진
사진= 장건재 감독, 김주령, 문호진

이어서 김주령 배우는 “사실 이런 말씀드리기는 그렇지만, 제가 출연한 영화를 보고 이렇게 감동받은 적은 처음인 것 같다. 어떻게 보셨는지 잘 모르지만, 보시는 분들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이 영화가 주는 위로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저희 영화를 보시고 각자 나름의 어떤 삶의 위로를 많이 받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라며 역시 영화가 가진 삶의 위로에 대한 메시지가 관객에게 닿을 수 있길 바란다는 소망을 밝혔다. 장건재 감독은 “이 영화는 제가 나누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하려고 한 사람들. 그리고 일찍이 투신해서 굉장히 열심히 평생을 바쳐왔지만 계속 질문을 갖고 있는 시기의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 그런 분들과 함께 극장을 다시 찾아주시면 너무 감사하겠다”라며 기자간담회를 마무리했다. 상영시간 76분. 11월 8일 개봉.

사진= 장건재 감독, 김주령, 문호진
사진= 장건재 감독, 김주령, 문호진

 

저작권자 © 무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