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 컷= 마리 앙투아네트
스틸 컷= 마리 앙투아네트

오스트리아 공주로 태어나 프랑스 황태자 루이 16세와의 정략결혼으로 베르사이유 궁궐에 들어와 왕비의 자리까지 올랐으나 단두대의 이슬이 되어 짧은 생을 마친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야기는 너무도 유명하다.

프랑스 황실에서는 사교, 오페라, 수렵, 미술, 음악 등의 모임에 등장한 그녀의 자태가 어찌나 아름다웠는지 작은 요정이라 불렀다고. 그러나 그 후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미지는 사치와 낭비의 아이콘이 되어 프랑스 혁명을 재촉했다는 오명을 뒤집어 쓴 채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줄곧 폄하를 받아왔다.

그런 그녀의 처형은 프랑스 혁명의 당위를 위한 일종의 상징적 희생이었다는 의견이 재조명 되면서 동정론이 등장했다. 과연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는 프랑스 국고를 낭비하며 향락과 쾌락만을 일삼은 희대의 ‘된장녀’였을까?, 아니면 역사의 희생양 이었을까?

당시 유럽 왕실 대부분이 그랬듯이 ‘마리 앙투아네트’와 루이 16세의 결혼도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공국 사이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결정이었다. 베르사이유로 입궐했을 때 그녀의 나이는 고작 14세였다.

성품이 상냥하고 친절하다는 평판이 있었지만 당시의 공주들은 사실 교육 수준이 그리 높지 않았기에 ‘마리 앙투아네트’ 또한 예쁜 용모와 예술을 사랑하는 성향에도 불구, 산만하며 쓰기와 읽기 능력이 부족한 소녀였다고 한다.

즉 평범한 열넷의 사춘기 청소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던 것. ‘마리 앙투아네트’의 입에서 나왔다는 말 중 예 의 그 유명한 문장, ‘빵이 없으면 케잌을 먹으라고 하세요.’는 실제로 그녀가 한 말이 아니다.

그녀는 프랑스 왕실에서 소작인의 밭으로 마차를 몰아 밭을 망치게 하는 짓을 거부한 유일한 왕족이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도 상당히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앙투아네트’는 루이 16세와의 결혼 기간 내내 갖가지 나쁜 소문에 시달려야 했다.

추저분한 소문은 그녀의 발목을 거칠게 잡았고, 나아가 아들 루이 17세와의 근친상간을 빌미로 사형이 언도되기에 이른다. 당시 심신미약 상태였던 어린 아들 루이 17세는 주변의 집요한 압박에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로부터 겁탈 당했다는 증언을 해버리고 말았다.

단두대에 올랐을 때 그녀의 나이 불과 38세, 후대의 역사가들은 그녀가 한 과오에 비해 과도하게 위중한 벌을 받은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역대 프랑스 왕비 중 자신만의 거처(쁘띠 트리아농 궁)를 받은 왕비는 ‘마리 앙투아네트’가 유일했다.

그로 인해 이런저런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으나 실제 쁘띠 트리아농 궁의 크기는 현대 기준으로 보아도 부잣집 별장 정도의 크지 않은 사이즈였고 조용한 전원생활에 대한 로망을 품고 있던 ‘앙투아네트’는 트리아농 궁으로 옮길 때 증축을 하지도 쓸데없는 돈을 쓰지도 않았다.

스틸 컷= 마리 앙투아네트
스틸 컷= 마리 앙투아네트

허나 자신만의 장소에 틀어박혀 살아가는 그녀에 대해 사치만 일삼는 배움이 부족한 외국인 출신 왕비라는 악의적인 소문은 점점 무성해 지기만 한다. 사생활이 노출되지 않았던 것도 오해를 사기 그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자신만의 거처를 지닌 그녀에 대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귀족들도 상당했다 하니, 애정 없는 결혼 생활과 낯선 왕가의 허례허식에 지쳐 평화로운 공간에서 휴식 같은 일상을 바랬을 뿐이었던 그녀의 행동은 결국 사형이라는 최악의 형태로 그녀에게 돌아가고 만다.

이처럼 ‘마리 앙투아네트’의 인생은 소설이나 영화 등의 소재로 삼기 충분할 정도로 드라마틱해 관련 작품이 상당히 많다. 2006년 소피아 코폴라 감독은 화사한 색채로 가득 채운 러닝 타임 122분의 영화 '마리 앙투아네트'를 공개해 79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의상상을 수상한다.

영화 속 ‘마리 앙투아네트(커스틴 던스트 분)’는 프랑스 왕비다운 럭셔리 끝판 왕으로 보여 지지만 스타일리시한 음악과 다채로운 컬러의 향연, 패셔너블한 소품 등을 통해 여느 소녀들과 마찬가지로 웃고 떠드는 일이 즐거운 틴에이저에 불과함을 감독은 알리고 싶었던 것 같다.

한 예로, 궁전에서 그녀가 구두를 고르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즐비하게 반짝이는 고급스러운 슈즈 대열에 라벤더 빛깔의 현대식 컨버스 운동화가 슬쩍 끼어 있다. 십대 소녀의 풋풋한 감성을 표현하려는 감독의 의도가 다분히 드러나는 씬이다.

내 딸의 나이도 열넷이다. ‘마리 앙투아네트’ 가 프랑스 황태자비가 되어 프랑스 궁궐에서의 삶을 시작한 나이와 같다. 여전히 엄마 품을 가장 좋아하고, 엄마 몰래 게임을 하기도 하며, 아침마다 일어나기 싫어 꼼지락거리는 평범한 십대 소녀인 딸을 보며‘마리 앙투와네트’ 의 비극을 되짚어 본다.

왕관을 쓰려거든 그 왕관의 무게를 견디라 하지만 오스트리아의 공주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국제 정치의 도구로 느닷없이 타국의 황태자비가 된 그녀에게 왕관을 선택할 자유나 그 왕관을 견딜 시간은 주어지지 않았다.

열넷에 프랑스 황태자비가 된 그녀가 프랑스 황실의 낯설고 두려운 환경 속에서 어떻게 해서든 안간힘을 쓰며 적응하려는 노력을 설마 안 했을까? 공룡만큼 거대하고 거미줄처럼 복잡다단하게 얽힌 궁에서 제대로 마음 붙일 제 사람 하나 없이 홀로 그 무게를 견디기는 몹시 어려웠을 것이다.

왕비가 된 후 자녀들과 함께 쁘띠 트리아농 궁에서 은둔 생활을 이어가고자 했던 그녀의 심정을 알 듯도 하다. 황금과 비단, 보석과 벨벳, 향기 짙은 꽃과 온갖 산해진미로 가득한 궁에서의 삶은 겉으로 보기엔 화사하지만 실제로는 달콤함 뒤에 정체를 숨기고 있던 쓴 맛의 여운이 길었을 것만 같다.

마치 칵테일 미모사처럼 말이다. 칵테일 미모사는 수백 년 전부터 프랑스 상류층의 살롱에서 애용되던 ‘샴페인 아 로랑쥬(오렌지 주스가 들어간 샴페인)’로, 글라스에 따랐을 때의 빛깔이 청초한 노란색의 미모사 꽃과 비슷하다 하여 ‘미모사’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사진= 칵테일 미모사
사진= 칵테일 미모사

오렌지 주스의 향긋함에 기품 있는 샴페인이 곁들여져 파티의 분위기를 한층 고양시켜 주지만 오렌지 주스의 달콤함 뒤로 드라이한 샴페인의 쓴 맛이 감돌아 파티가 끝난 후의 허망함이 오버랩 되는 술이기도 하다.

고운 빛깔과 싱싱한 향을 지녔으나 한 모금 넘기면 단 맛에 이어 쓴 맛이 다가오고, 좁고 림이 얄팍한 긴 글라스에 담겨 나온 자태가 퍽 가련해 보여 어딘지 모르게 ‘마리 앙투아네트’의 삶과 닮았다고나 할까.

만드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해서, 오렌지 주스와 샴페인의 비율을 1:3으로 잡고 글라스에 먼저 오렌지 주스를 따른 후 샴페인으로 잔의 나머지를 채우면 된다.

오렌지 주스 대신 망고 주스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아페롤(과일 향이 나는 붉은 빛깔의 이태리 식전 주)를 추가하여 아페롤 미모사로 만들기도, 블루베리 시럽에 레모네이드를 넣은 술 '레모사'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아무튼 미모사를 마시려거든 샴페인의 쓴 맛도 견디겠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물론 오렌지 주스의 달콤함은 ‘마리 앙투아네트’의 비극적인 삶과는 달리 쓴 맛을 견딜 여지를 주기에 충분하지만 말이다.

포스터 출처(다음)= 마리 앙투아네트
포스터 출처(다음)= 마리 앙투아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무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